top of page

김자영(공저). 2019. “학교 현장의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인권교육: 담론, 문제점 및 실천 방향.”

김자영. 2019. “학교 현장의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인권교육: 담론, 문제점 및 실천 방향.” 『시민교육연구』 제51권 제2호, 71-94. (공저)


전 사회적으로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학교 현장에서는 혐오와 차별이 존재하고 인권에 대한 시각도 엇갈리고 있기에, 인권의식 제고를 위한 인권교육의 통합적 방향을 탐색하는 일은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권 및 인권교육 관련 담론을 세계적 흐름 속에서 분석하고 인권교육을 둘러싼 현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인권교육의 실천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현장에서는 세 가지 문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지식 및 교과 중심의 인권교육 경향이 두드러진다. 둘째, 한국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갈등 문제와 유리되어 현재 학교 안팎을 통합하는 인권교육이 부재하다. 셋째, 인권교육 담론과 실천에서 교사가 소외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세 가지 실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교육 뿐 아니라 교과 외 활동, 학교문화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 인권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인권교육의 핵심 주체로서 교사의 전문성과 책무를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와 학교 밖 사회가 연계될 수 있는 친인권적 사회‧문화를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인권 수호자로서의 시민을 길러내야 한다.



(DOI) 10.35557/trce.51.2.201906.003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연동로 320 성공회대학교 일만관 402호

©2022 by 정성조.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