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1]
아시아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 : 아시아 민주화와 분화하는 사회운동들
(Changes in social movements in the Asian political change :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movements in Asian democratization)
조희연, 허성우, 이기호 엮음 ; 박승우, 박윤철, 박은홍, 이기호, 이홍균, 조희연, 허성우 지음
카테고리 : 사회학
가 격 : 24,000원
쪽 수 : 304(신국판, 양장)
출 간 일 : 2010년 9월 10일
ISBN 978-89-460-5287-1 93330
대만 사회운동은 민주화 이후 분명한 성격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이 시기의 사회운동에는 권위주의 시기의 사회운동이 지녔던 역동성은 상당 부분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새로운 모순에 대응하는 대항 이데올로기의 창출을 통한 대항 헤게모니적 실천을 하지 못하고, 생활세계 지향이나 사회서비스 실무형의 시민조직을 발전시키는 데 머무르고 있는 경향을 보여준다.
- 본문 중
이 책은 대만과 필리핀, 타이,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의 민주화 과정에서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운동이 어떻게 변화·분화되고 재구성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그 의미와 전망을 분석한다. 예컨대 개발독재하에서 사회운동은 독재 타도라는 공통 과제에 맞선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수렴되었다. 그러나 독재 이후 및 개발 이후 과정에서 사회운동은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분화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 책은 아시아라는 공간에서 이러한 사회운동의 변화 또는 분화 과정이 어떻게 나타났고,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몇 가지 중요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차례
책을 내면서: ‘독재 이후’ 및 ‘개발 이후’ 아시아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운동의 변화와 재구성|조희연·허성우·이기호 9
1.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운동의 복합적 분화 9
2. 이 책의 주요 내용 18
서장 아시아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 변화의 성격과 제도정치영역과의 관계_조희연 27
1.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도전과 과제 27
2. 독재 이후 수동혁명적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에 대한 도전과 응전 31
3. 포스트-개발자본주의화에 따른 사회운동의 1차 분화와 2차 분화 42
4. 사회운동의 ‘복합적 분화’와 신사회운동의 관계 52
5. 민주주의적 정치의 성격과 사회운동: 제도정치와 사회운동의 상호관계 58
제1장 대만 민주화 이후 사회운동의 변화와 재조직화_박윤철 77
1. 들어가는 말 77
2. 대만 국가/시민사회 관계와 사회운동의 재구조화 모형 79
3. 사회운동의 역사적 성격과 권위주의 시기의 사회운동 83
4. 민주화 시기 사회운동의 변화 88
5. 개발자본주의의 충격과 운동지향적 사회운동의 재조직화 96
6. 나오는 말 104
제2장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변화_박승우 109
1. 서론: 연구의 주제 및 목적 109
2. 이론적 논의 111
3.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분화 116
4. 민주화 이후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 134
5. 요약 및 결론 149
제3장 타이의 사회운동과 헌정주의_박은홍 157
1. 서론: 연구의 주제 및 목적 157
2. 분석틀 모색: 사회운동과 정당정치의 관계 160
3. ‘74년 체제’의 위기: 헌정주의 대 준헌정주의 166
4. ‘97년 체제’의 위기: 헌정주의 대 반헌정주의 173
5. 결론 181
제4장 인도네시아 말루쿠 분쟁지역 갈등의 특징과 바쿠바에 운동:
아래로부터의 시민 참여에 의한 갈등 중재 및 평화 프로세스_이기호 189
1. 머리말 189
2. 인도네시아 사회운동의 배경 191
3. 말루쿠 지역의 분쟁 배경과 종교 간 갈등 201
4. 시민 참여에 의한 갈등 중재와 평화 프로세스: 바쿠바에 운동 208
5. 맺음말: 사회운동의 특징과 과제 217
제5장 민주화 이후 필리핀 여성운동의 변화·분화와 신자유주의 대항 헤게모니_허성우 225
1. 서론 225
2. 연구대상과 방법 및 이론적 개념들 228
3. 민주화와 필리핀 여성운동의 발전·분화·확산과 대항 헤게모니 237
4. 페미니스트 대항 헤게모니 구축 전망 256
5. 결론: 한국 사회운동/여성운동에서 갖는 이론적·실천적 함의 264
제6장 동유럽, 시민사회 발전의 지체와 민주주의 공고화의 지체_이홍균 273
1. 머리말 273
2. 동유럽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276
3. 동유럽에서 민주주의 공고화의 실패 283
4. 기존의 민주화 이행론과 민주주의 공고화론에 대한 재검토 293
5. 맺음말 29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