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좌파 철수와 원순을 논하다: 포스트민주화 시대의 정치혁신과 희망의 대안
저자 : 조희연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일 : 2012.07.20
페이지 : 496
ISBN : 9788946054646
판형 A5, 148*210mm
정가 36,000원
*책소개
한국사회가 원체 ‘역동적’인 사회이기는 하지만, 그 역동적 변화만큼 우리는 ‘해석의 혼란’에 직면하고 있다. 이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그리고 이 시대의 문제와 그 대안은 무엇인가? 지은이는 이 책에서 ‘포스트민주화 시대’, ‘권위주의적 신보수정부’, ‘제3의 정치성’, ‘생태민주적 사회(적)민주주의’, ‘사회적 완충 국가’ 등 조금은 새로운 개념들을 통해서 이 시대의 문제에 대한 규정과 대안을 내놓는다.
또한 이른바 진보논쟁을 비롯해 여러 쟁점에 관해 최장집, 손호철, 강준만 등 다른 학자들과의 토론을 정리해 소통을 이끌어내는 한편, 민주주의 좌파의 시각에서 진보뿐 아니라 보수에 대해서, 특히 뉴라이트에 대해서 합리적이고 과감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의 분석과 평가, 대안은 한국정치,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의 도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위기를 맞은 한국사회의 개혁적 전환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일어나도록 북돋울 것이다.
*저자소개
1956년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학교(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영국 랑카스터대학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이며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겸 NGO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성공회대학교 통합대학원장과 민주주의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Inter-Asia Cultrual Studies : Movement(Routledge 발행)의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1988년 22개 진보적 인문사회과학연구단체의 연합체인 학술단체협의회 창립에 적극 참여했으며, 1994년 박원순 변호사와 함께 참여연대 창립에 주도적으로 나서기도 했다. 1999년 이재정 성공회대 당시 총장(전 통일부 장관)과 함께, 시민운동가 재교육기관인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을 설립하고 2007년 아시아 사회운동가 재교육과정으로서의 MAINS(아시아비정부기구학과정), 민주주의연구소, 민주자료관, 인권평화연구소, 아시아NGO정보센터, 민주사회정책연구원 등을 설립하는 등 현재 성공회대학교의 진보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2003년 '문화일보' 여론조사에서 "대표적인 진보적 지식인"으로 선정되기도 했고, 같은 해 '시사저널'이 시민운동가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식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사회에 대한 냉철한 시각으로 진보적인 시각에서 정치와 사회를 분석하며, 그러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연구하는 지식인이다. 참여연대의 창단부터 지금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한국사회과학연구소 회원 겸 연구기획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80년대 사회구성체 논쟁 이후로 사그러든 한국의 지식사회에 한국사회의 성격에 대한 논쟁, 최장집, 임지헌 비판 등을 계속하여 침묵하는 한국사회를 논쟁의 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동원된 근대화』등 다수의 편저와 논문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포스트민주화 시대, 진보의 길과 방향을 찾아
서장: 한국 민주주의의 병목지점과 그 돌파구
제1부. 신보수정부의 출현과 포스트민주화 시대의 성격
1장. 2007년 대선을 통해 본 참여정부의 위기와 균열
2장. ‘권위주의적 신보수정부’로의 이행과 ‘포스트민주화’ 시대의 시작
3장. 권위주의적 신보수정부의 균열지점들
4장. 참여정부 위기의 원인과 진보논쟁
제2부. 포스트민주화 시대의 정치 혁신
5장. ‘국민 정치 공간’의 새로운 공백과 다양한 정치변동의 가능성
6장. 중도개혁 자유주의 정치세력의 혁신 ― ‘사회적 자유주의’ 정당으로의 재구성
7장. 진보정치세력의 새 과제들
8장. 보수도 혁신이 필요하다 ―보수의 사회인식 전환과 ‘자유주의적 보수’
제3부. 포스트민주화 시대의 대안담론과 이념
9장. 대안담론의 기본지향 ― 공공성
10장. 생태평화 사회(적)민주주의
11장. 지구화 시대의 ‘사회적 완충 국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