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7] 박정희 시대의 새마을 운동
- 연구소
- 2014년 3월 21일
- 2분 분량
부제: 근대화, 전통 그리고 주체
저자: 오유석 편
출판일: 2014-03-21
박정희 시대의 새마을운동 : 근대화, 전통 그리고 주체 = (The) rural Saemaul Undong in the Park Chung Hee regime : modernization, tradition and subject
표제/저자사항 박정희 시대의 새마을운동 : 근대화, 전통 그리고 주체 = (The) rural Saemaul Undong in the Park Chung Hee regime : modernization, tradition and subject / 황병주, 최인이, 오유석, 하재훈, 이현정, 윤충로, 김보현, 이용기 지음 ; 오유석 엮음 황병주[1967-] 최인이 오유석[1964-] 하재훈 이현정[1982-] 윤충로[1968-] 김보현[1967-] 이용기[1967-]
발행사항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4
표준번호/부호ISBN 9788946048324 93330: ₩23000
주제명새마을 운동[--運動]
목차
들어가는 말 _역사에서 세계로: 대안의 새마을운동 = 7
제1부 국가, 근대적 주체 형성과 새마을운동 = 23
제1장 새마을운동 시기 국가와 농민의 정치경제학 / 황병주 = 25
1. 머리말 = 25
2. 새마을운동 전후 농정과 농업 생산과정의 변화 = 27
3. 새마을운동의 '정치경제학' = 48
4. 맺음말 = 67
제2장 1970년대 농촌 여성들의 자본주의적 개인되기: 새마을 부녀지도자의 노동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 최인이 = 72
1. 머리말 = 72
2. 이론적 자원: 근대적 시간개념, 이윤개념 = 77
3. 근대적 시간ㆍ이윤개념과 농촌새마을운동 = 81
4. 농촌 부녀자들의 자본주의적 개인되기 = 86
5. 전통적 가치관과 근대적 자본주의의 타협 = 101
6. 맺음말: 자본주의적 인간형의 한국적 변형 = 104
제2부 새마을운동과 마을공동체의 변화 = 109
제3장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주의 새마을사업: 마을 리더십의 성격과 역할 / 오유석ㆍ하재훈 = 111
1. 연구목적과 연구대상 = 111
2. 기존 연구논의와 연구방법 = 115
3. 사례마을의 현황과 특성 = 122
4. 새마을사업에서 마을 리더십의 성격과 역할 = 134
5. 맺음말 = 143
제4장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공동체의 역동성 비교 연구 / 이현정 = 149
1. 머리말 = 149
2. 이론적 논의: 사회자본 이론 = 151
3. 연구방법 및 사례지역의 특성 = 158
4. 1970년대 사례지역의 새마을운동 = 161
5. 맺음말 = 191
제5장 새마을지도자 '만들기'와 '되기' 사이에서: 구술을 통해 본 1970년대 새마을운동 / 윤충로 = 201
1. 머리말 = 201
2. 연구방향과 사례의 특성 = 204
3. 역사적 시간과 일상의 시간: 1970년대 이전 삶의 경로 = 208
4. 관(官)주도의 새마을지도자 '만들기'와 새마을지도자 '되기' = 215
5. 새마을지도자의 길: 관과 마을 사이에서 '꾸불꾸불 가기' = 227
6. 맺음말 = 238
제6장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과 농촌사회의 집합적 참여: 공동체적 전통의 활용을 중심으로 / 하재훈 = 243
1. 머리말 = 243
2. 연구방법 = 246
3. 전통적 자치조직의 활용: 자율과 자치에서 물적 토대로 = 249
4. 협업적 전통의 활용: 공동체적 이익과 개별적 이익의 충돌 = 258
5. 전통적 마을 리더십의 활용: 권위적 리더십에서 일 잘하는 리더십으로 = 269
6. 맺음말: 논의의 요약 = 278
제3부 새마을운동의 역사적 평가와 대안 = 285
제7장 박정희 시대 국가의 통치 전략과 기술: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 김보현 = 287
1. 머리말 = 287
2. 주의주의적 생활관과 자조하는 국민 = 291
3. 지도의 정치, 포상의 정치 = 300
4. 노동과 금전으로 환원되는 삶 = 310
5. 맺음말 = 315
제8장 '유신이념의 실천도장', 1970년대 새마을운동 / 이용기 = 321
1. '박정희 시대'의 상징, 새마을운동 = 321
2. 새마을운동의 실상 = 323
3. 국가의 통치전략과 농민의 호응 = 336
4. 새마을운동의 신화에서 벗어나기 = 343부록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 관련 계통도 = 35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