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세계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대안 체제 모형을 찾아서 - 한국사회 재인식 시리즈 12
신영복, 조희연, 김호기, 조현연, 구갑우, 이광희, 오건호, 노대명, 김정훈, 허상수, 이광일(지은이) | 함께읽는책
출간일 : 2006-11-20 | ISBN : 899036941X
반양장본 | 422쪽 | 223*152mm (A5신)
* 책 소개
이 책은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역사적 충격 속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대안적 체제 모형'을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이 책은 '한국 자본주의·민주주의·시민사회의 역사·담론·대안 연구'를 통한 우리 시대의 희망 찾기라는 지난 6년간의 공동연구 작업을 일단락짓는 완결판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 저자 소개
신영복 - 1941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서울대 경제학과 및 동 대학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숙명여대 정경대 경제학과 강사를 거쳐 육군사관학교 경제학과 교관으로 있던 중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되어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20년 20일을 복역했다. 1988년 8월 14일 가석방되었으며, 2006년 현재 성공회신학대학에서 경제학 및 한국사상사를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1988), <엽서>(1993), <나무야 나무야>(1996), <더불어 숲>1, 2(1998)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외국무역과 국민경제>(1966), <사람아 아! 사람아>(1991), <노신전>(1992, 공역), <중국역대시가선집>(1994, 공역) 등이 있다.
조희연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연세대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남가주대학교(USC)와 영국 랑카스터 대학교에서 교환교수를 지냈다. 참여연대 사무처장 및 정책위원장으로 일했고, 2006년 현재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및 NGO 대학원 교수이다.
지은책으로 <한국사회구성체논쟁>,<계급과 빈곤>,<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NGO란 무엇인가>,<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등이 있다.
* 차례
책 머리에
서장 대안담론과 '생태평화 사회민주주의'
제1부 총론
제1장 지구촌 민주주의와 국민국가 민주주의에 대안적 재구성 원리 탐색 - 지구촌 민주주의론 서설
1. 머리말
2. 근대 국민국가 민주주의의 세가지 한계 및 갈등지점
3. 지구화와 민주화의 이중적 진행: 근대 국민국가 민주주의에 대한 지구화의 새로운 도전
4. 한국 민주주의의 대안적인 원리와 재구성방향 - 지구촌 민주주의와 국민국가 민주주의의 재구축
5. 요약과 맺음말: 아시아의 민주주의 선도국이 되자
제2장 민주화·세계화 이후의 대안민주주의 논의
1. 문제 제기
2. 전자민주주의와 심의민주주의
3. 생태민주주의
4. 지구민주주의
5. 결론
제2부 민주화·세계화 '이후' 대안 정치 모형
제3장 민주화·세계화 '이후' 대안 정당정치 모형 연구
1. 들어가는 글
2. 왜 정당정치인가?
3. 민주화·세계화 '이후' 한국 정당과 정당정치의 특성
4. 대안적 정당정치의 제도 모형
5. 맺는 글
제4장 한반도 평화 과정과 '진보'
1. 문제 설정
2. 진보와 평화
3. 한반도 평화과정의 국제정치: '이론적 해석'
4. 평화 과정과 평화운동
5. 결론
제5장 민주화·세계화 이후 지방자치의 제도적 대안
1. 민주화·세계화·지방화
2. 지방의 자율성
3. 지방 민주주의
4. 지방 정치체제
5. 결론
제3부 민주화·세계화 '이후' 대안 사회·운동 모형
제6장 한국 사회 노동체제 변동과 대안노동체제 모색
1. 시작하며
2. 1987년 노동체제의 특징
3. 1987년 노동체제의 불안정성과 변화를 향한 활동
4. 대안노동체제 형성을 위한 길 찾기: 탈 시장화를 향한 사회공공적 노정운동
5. 대안노동체제 형성을 위한 개혁 과제
제7장 신빈곤 극복의 대안적 복지체제 모형 연구
1. 들어가며
2. 복지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3. 한국 복지국가 성격 규정을 위한 논의
4. 한국 복지국가의 실태
5. 한국의 대안적 복지체제를 위해
제8장 민주화·세계화 '이후' 생활세계의 변화와 시민참여적 대안 - 풀뿌리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1. 문제제기
2. 민주화·세계화 이후의 생활세계의 변화
3. 민주화·세계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한국 사회
4. 지역공동체와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하여
제9장 지속가능한 사회와 생태민주주의
1. 문제제기
2. '지속가능한 발전' 명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종합
3. 지속가능한 민주주의와 녹색국가의 가능성
4. 논의의 요약: 결론을 대신하여
제10장 자유화·세계화 이후 운동정치의 대안
1. 들어가는 말
2. '자유화'와 '세계화'시대의 역설: 자유의 풍요와 민주주의의 빈곤
3. 진보운동의 궤적: 정체성의 정치와 한계
4. 운동정치의 재구성: '적대'와 '차이', 그리고 민주주의
5. 새로운 야만과의 대결: 계급, 자율을 통한 연대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