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안내]1987년 6월민주항쟁 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동아시아 민주주의와 민주화(07.06.29)

작성자 사진: 연구소연구소

<1987년 6월민주항쟁 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 동아시아 민주주의와 민주화>


- 모시는 글 -


1987년 6월민주항쟁은 한국의 권위주의체제를 민주화시켰습니다. 그와 더불어 동아시아 각국에도 일정한 시차는 있었지만, 도도한 민주화의 물결이 도래했습니다. 세계적인 '제3의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 동아시아도 예외가 될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동아시아 민주화의 현실은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것은 동아시아 각국에서 민주화의 진전이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때로는 민주화가 정체되거나 상황에 따라서는 그것이 역전되는 현상도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동아시아 각국은 권위주의체제 및 그 유산을 극복하고 민주화를 더욱 진전시켜야 하는 공동의 과제를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와사회운동연구소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 민주화의 성과와 한계를 조명하는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고자 합니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함세웅

성공회대학교 총장 김성수


- 순 서 -

0. 일자: 6월 29일(금) 13:00~18:00

장소: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타 이연홀(새문안교회 건너편)

0. 공동주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연구소

후원: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학술단체협의회


0. 세부주제 및 일정


등록 및 인사말(13:00-13:20)

-개회사

-인사말: 함세웅(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양권석(성공회대 부총장)

-축 사: 김홍구(한국동남아학회 명예회장)

제1세션(13:20-14:50): 동아시아 민주주의 각 국 사례 1(민주화 이행 사례)

-사회: 백원담(성공회대 교수)

-발표

대만: Yun-han Chu (대만 국립대)

필리핀: Teresa S. Encarnacion Tadem(필리핀 국립대학)

인도네시아: Vedi Renandi Hadiz(싱가폴 국립대)

-토론: 김영명(한림대), 허성우(민주주의와사회운동연구소), 황인원(경상대)

휴식: 14:50-15:00

제2세션(15:00-16:30): 동아시아 민주주의 각 국 사례 2(권위주의 및 재권위주의 사례)

-사회: 박은홍(성공회대)

-발표:

태국: Giles Ji Ungpakorn(쫄라롱껀대)

말레이시아: Andrew Aeria(시라왁대)

버마: Aung Moe Zaw(버마연합민족회의)

-토론: 김홍구(부산외국어대), 이내영(고려대), 이재현(한국동남아연구소)

휴식: 16:30-16:40

제3세션(16:40-18:00): 종합토론

-사회: 정진성(서울대)

-발표

Francisco Nemenzo(전 필리핀대 총장)

조희연 / 박은홍(성공회대)

-종합토론: 발표자 전원, 권혁태(성공회대), 김동엽(청주대), 이성훈(포럼-아시아)

* 이 심포지엄은 동시통역으로 진행됩니다.

Comments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연동로 320 성공회대학교 일만관 402호

©2022 by 정성조.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