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국 자본주의와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연구] [제1세부과제 1단계 2차년도 및 2단계 1차년도] 연구성과

작성자 사진: 연구소연구소

최종 수정일: 2024년 7월 9일



제1세부과제 1단계 2차년도 및 2단계 1차년도 연구성과입니다.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역사와 위기-산업화 이념의 재고찰과 대안의 모색(1)>


서장 한국자본주의 발전구조의 성격과 연구 방법론 (유철규)


I부 산업화의 제도: 변화와 성과, 그리고 그 정합성의 붕괴

제1장 재벌체제의 발전과 모순(김기원)

제2장 기업지배구조의 변화-금융구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상조)

제3장 기업-금융관계의 변화: 부실기업정리제도를 중심으로(송홍선)

제4장 토지자본의 이용과 국가개입방식의 변화(김태승)

제5장 국가와 노동자 변화: 국가와 노동시장 유연화전략과 고용안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전병유)


II부 산업화의 정책이념: 지배담론의 형성과 대항담론

제6장 1950,60년대 경제개발 신화의 형성과 확산(박태균)

제7장 농지개혁과 한국 자본주의(조석곤)

제8장 산업발전과 산업정책의 전개: 1960-70년대 화학섬유산업을 중심으로(이상철)

제9장 박정희 시대의 안보정치(신정완)

제10장 농촌근대화전략과 새마을운동(오유석)

제11장 민족경제론의 재검토(정건화)


본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이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유철규 편, 2003,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역사와 위기』, 함께읽는책.

Comments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연동로 320 성공회대학교 일만관 402호

©2022 by 정성조.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