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입니다.
지난 14일 열렸던
4ㆍ19 50주년, 광주 항쟁 30주년 기념
한겨레-성공회대 민주주의 연구소 공동주관 대토론회
자료집을 첨부하니 확인하시고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열광과 좌절의 싸이클을 넘어’
- 민주주의의 위기와 제2의 민주화의 모색
* 일시: 2010년 4월 14일(수) 9:30- 6:00
* 장소: 시청 성공회 대성당(프란시스홀)
* 내용
기조강연 : 한국 민주주의의 회고와 전망(최장집, 고려대학교)
민주화 시대를 다시 본다(민주화 운동 재평가)
▌사회 : 김동춘(민주주의연구소 소장, 성공회대학교)
① 민주화의 주체는 누구였는가?
▪ 발표 : 박태균(한국역사연구회, 서울대학교)
▪ 토론 : 정일준(고려대학교)
②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한국민주화운동의 성찰과 새로운 민주화의 전망
▪ 발표 : 고정갑희(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집행위원장, 한신대학교)
▪ 토론 : 김원(한국학중앙연구원)
③ 한국 민주화운동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한 성찰
▪ 발표 : 김진호(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목사)
▪ 토론 : 이성백(서울시립대학교)
‘87년 체제’와 민주주의의 위기(한국 민주주의의 현단계)
▌사회 : 정현백(성균관대학교)
① 87년 체제의 성격
▪ 발표 : 김종엽(한신대학교)
▪ 토론 : 임운택(사회운동과정치연구회, 계명대학교)
② 민주정부의 성격과 한계
▪ 발표 : 정해구(한국정치연구회, 성공회대학교)
▪ 토론 : 노중기(한신대학교)
③ 이명박 정부의 성격과 한국민주주의
▪ 발표 : 최갑수(서울대학교)
▪ 토론 : 조현옥(여성정치연구회, 이화여자대학교)
‘제2의 민주화’를 위하여 (민주주의의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대안의 모색)
▌사회: 정근식(비판사회학회장, 서울대학교)
① 제2의 민주화의 주체는 누구인가?
▪ 발표 : 김정훈(민주주의연구소, 성공회대학교)
▪ 토론 : 윤도현(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② 무엇이 제2의 민주화 혹은 새로운 민주주의 인가?
▪ 발표 : 고병권(연구공간 수유+너머)
▪ 토론 : 오유석(민주주의연구소, 성공회대학교)
③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경제모델은 가능한가?
▪ 발표 : 홍종학(경원대학교)
▪ 토론 : 정태인(한국사회과학연구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