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2012.5.8]대학 연구소 제 위상 찾으려면…전임교수 확보하고 대학원 활성화해야/김동춘
- 연구소
- 2012년 5월 8일
- 1분 분량
대학은 교육과 연구를 위해 존재한다. 연구기능은 교수 개인이 담당하기도 하지만, 대학 내 연구소가 주로 수행한다. 대학은 당장 시장이나 정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의 생산보다는 국가나 사회의 지식을 집약 축적하고, 기초 실태 조사나 연구 작업을 통해 사회의 중심을 잡아주며, 또 독자적인 이론을 만드는 데 기여해야 한다. 대학 연구소의 역할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근대 대학의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만큼, 대학 부설 사회과학연구소의 역할 역시 아직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다. 특히 역사, 문화 등 인문학연구소의 기능에 비해 사회과학연구소의 기능은 더욱 취약하다. 연륜이 있는 몇몇 사회과학연구소가 있으나 대부분 간판을 유지하면서 학술잡지를 발간하는 정도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외부 용역 과제 수행에 허덕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 당국도 연구를 위한 재정지원은 거의 하지 않는다.
기사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