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민사회의 변동과 사회문제 - 한국사회 재인식 시리즈 3
김동춘, 김서중, 김영순, 김유순, 김정석, 김창남, 박경태, 이영환, 심상완, 장화경, 정영애(지은이)
출간일 : 2001-08-25 | ISBN : 8988662482
302쪽 | 223*152mm (A5신)
* 책 소개
성공회대학교를 중심으로 진행중인 학제간 통합 연구 '한국 사회 재인식' 시리즈의 제 3권.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한국 사회의 재구조화 과정 속에서 다양하게 드러나는 사회문제 - 불평등과 사회적 위험(social risks), 성차별, 소수 집단의 소외, 문화적 억압 등 - 와 갈등을 고찰하였다.
이 책은 한국 사회의 문제점들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집단으로 '노동자', '여성', '가족' 및 '소수자집단'을, 그리고 대표적인 문제영역으로 '복지', '대중문화' 및 '언론'을 선택하였다. 그리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적, 정치적 변화의 이면에서 누적된 문제들, 그리고 그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과 국가의 정책적 대응의 전개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모두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영환, 심상완, 김동춘의 제1장 '한국의 사회변동, 사회문제와 사회정책'은 해방 이후 지금까지의 한국사회의 변동과정에서 표출된 사회문제,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바라보는 기본 시각을 제시한다.
이영환, 김영순의 제2장 '사회복지 발달의 계급정치'은 한국 사회복지 발달을 계급정치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그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논한다. 김창남의 제3장 '해방 후 대중문화의 구조적 특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대중문화의 흐름과 특성을 다양한 문화이론의 틀과 연계시켜 설명한다.
김서중의 제4장 '정부의 언론정책과 언론구조의 변동'은 정부 언론정책의 성격과 언론 구조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김동춘의 제5장 '노동자와 노동정책'은 한국사회 노동자가 갖는 특수성과 노동정책 형성의 기반이 되었던 사회적?제도적 요소들을 설명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한다.
장화경, 정영애의 제6장 '산업화와 여성노동'은 산업화 과정에서 여성 노동자들의 현실이 변화해 온 경로와 이들이 처한 불평등한 노동조건과 노동시장에서의 위치를 경험적 자료에 근거해 분석한다. 김유순, 김정석의 제7장 '가족구조와 가족관계의 변화'은 부부관계와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의 변화를 접근하면서, 이혼과 노인 부양이라는 사회문제가 가족 변화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보여준다. 박경태의 제8장 '소수자 차별의 사회적 원인'은 한국 사회에서 소수자를 차별하는 원인을 고찰한다.
* 저자 소개
김동춘 - 1959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비평」과 「경제와 사회」의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2004년 한겨레신문 선정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100인'으로 뽑힌 바 있다. 2006년 현재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황해문화」 편집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1960년대의 사회운동>, <한국사회노동자연구>, <한국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분단과 한국사회>, <전쟁과 사회> 등이 있다.
김서중 - 서울대 신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언론산업의 역사와 구조>(공저), <시민사회의 구성원리 전환과 사회정책의 대안적 프레임>(공저) 등이 있다.
김영순 - 국제노동기구 연구원
김유순 -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사회사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 <가족치료>, <해결중심 면접의 도구들> 등이 있다.
김정석 -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소 연구교수
김창남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마쳤다. 1980년대부터 문화평론가로 활동해왔으며 월간 「말」, 「사회평론」, 계간 「민족예술」 등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2006년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며, (사)우리만화연대 이사, 한국대중음악학회장 등을 겸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대중문화의 이해>가 있다. 엮은 책으로는 <김민기>, <노래1>, <노래2>, <노래3>, <노래4>, <노래운동론>이 있고 공저 및 공역으로는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문화, 일상, 대중>, <문화이론사전>이 있다.
박경태 - 미국 텍사스 주립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있다.
장화경 -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성공회대학교 일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현대일본사회론>, <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등이, 옮긴 책으로 <일본과 세계의 만남>,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등이 있다.
정영애 - 충청북도 여성정책관
이영환 - 서울대 사회복지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차례
제1장 한국의 사회변동, 사회문제와 사회정책
제2장 사회복지발달의 계급정치
제3장 해방후 대중문화의 구조적 특성
제4장 정부의 언론 정책과 언론 구조의 변동
제5장 노동자와 노동정책
제6장 산업화와 여성노동
제7장 가족구조와 가족관계의 변화
제8장 소수자 차별의 사회적 원인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