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정용주(공저).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정용주.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7(4), 93-127.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교육학의 분과 학문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별히 모든 분야에서 현장성을 필요로 하고, 그것이 항상 선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현장성 강화를 당위적으로 표명되는 운동 개념으로서 이해하는 것은 교육학 연구를 얼마든지 왜곡할 수 있는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현장성의 무비판적 수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지나친 강조와 왜곡은 교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가교로서 과학적 탐구의 과정을 편파화, 파편화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문 탐구의 습성화된 판단 기준으로서 현장성에 대한 Friedman의 과학철학적 탐구의 견지에서 교육학 연구의 가치와 미덕을 조망해 보는 것이 논의의 지형을 확대하면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에 관한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고, 이의 해소 노력을 통해 교육학의 학문적 정초를 다지고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을 강조하였다.


조회수 8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교실에서 혐오발언, 차별, 폭력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인 교사와 상담 프로그램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

장원순. 2021. "인권과 민주시민교육에서 인간존엄성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장원순. (2021). 인권과 민주시민교육에서 인간존엄성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사회과수업연구, 9(1), 41-64.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존엄성 개념의 의미와 요소, 근거를 살펴보고, 인간존엄성 개념을 가르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인간존엄성이란 인간이 실존적인, 내재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두 가지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