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원석(공저). 2020. “민주시민교육 내용 규정 및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원석. 2020. “민주시민교육 내용 규정 및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제42권, 210-254. (공저)


최근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논의와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재한 상황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범위를 둘러싼 혼란과 논쟁이 점증하고 있으며, 각양각색의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지원하는데있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이 연구는 우선 민주시민교육 관계자(관리자, 운영자, 참여자) 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범위를 규정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민주시민교육은 ‘교육 활동 자체가 절차적 민주성을 충족시킨다는 전제하에, 생활정치를 포함한 정치활동 또는 사회적 지향을 갖는 공익 활동을 주제로 이루어진 교육’ 으로 규정할 수 있었다.


이후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는 다시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하나는 모든 민주시민교육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활성화 요소(홍보 수단 및 안정적 교육 공간 확보 등)를 찾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민주시민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활성화 요소를 찾는 것이다. 연구진은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주제(개인적 주제, 사회적 주제)와 초점(의제, 관계, 활동)을 기준으로 여섯 가지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각 유형에 따라 전문성 확보, 공동의 산출 결과, 운영진기획력 등과 같은 활성화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민주시민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 정치적 중립성에 근거한 보다 포용적인 정책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또한 각기 다른 민주시민교육 요구에 긴밀하게 대응할 필요 역시 강조하였다(정책적 반응성).



조회수 14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교실에서 혐오발언, 차별, 폭력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인 교사와 상담 프로그램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

정용주(공저).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정용주.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7(4), 93-127.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연동로 320 성공회대학교 일만관 402호

©2022 by 정성조.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