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박은홍(2008), 타이: 경제자유화와 ‘지배하는 지배계급’의 민주주의

한국태국학회논총 15-1호, 2008.08, 한국 태국학회

한국태국학회논총 15-1호

타이: 경제자유화와 ‘지배하는 지배계급’의 민주주의*


박 은 홍**


Ⅰ. 문제의 제기

타이에서 절대왕정체제를 대체한 근대국가는 군부와 관료에 의

해 독점되었고, 의회, 정당, 자본가집단, 노조 등의 이익집단은 국가

기구에 근접할 수 있는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 이때 군부관료집단

이 자신의 정당성을 높이기 위해 취한 전략은 배타적 민족주의노선

이었다. 특히 절대왕정시기부터 이미 상업자본으로서의 지위를 누

리고 있던 화인자본(華人資本)이 군부관료집단의 주된 공격대상이

되었다.

특히 군부정권은 국영기업을 설립함으로써 화인자본의 상권을

잠식하거나 직접적으로는 이들 기업을 인수하였다. 결국 국영기업

은 군부관료집단의 지배도구로 제도화되었고 사적자본은 이들에게

생사여탈권을 맡겨야 했다. 그렇지만 국가는 공식적으로 경제민족

주의를 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적자본을 대표하는 화인자본의

자본력과 경영기술을 무시할 수 없었다. 특히 1960년대에 들어와

개발주의가 강조되면서 기술관료집단과 화인자본을 필두로 한 사

적자본에 대한 군부의 지원이 있게 됨에 따라 경제가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사적자본이 활성화됨에 따라 기존의 천민자본,

지대자본(rent capital), 허수아비 자본 등으로 명명되던 타이자본이

명실상부한 산업자본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산업화가 수입대체 단

계에서 수출주도 단계로 전환됨에 따라 국제시장으로부터의 규율

을 피할 수 없게 된 국내자본의 기업가정신이 제고되었다. 그리고

민주화와 함께 정치권으로 진출하는 기업인이 늘어났다.

타이의 경제자유화는 이러한 정치경제적 상황을 배경으로 본격화

되었다. 그러나 더 많은 시장을 수반하는 경제자유화와 함께 등장한

신생민주주의는 수익성이 매우 높은 대형 프로젝트가 걸려 있는 사유

화 과정에서 정실관계를 확대재생산하는 양상을 빚었다. 이를테면 탁

신체제의 등장이야말로 이러한 경제자유화와 결부된 정실정치

(patronage politics)의 대표적 산물로서 2006년 군부 쿠데타에서 볼 수

있듯이 민주주의의 제도화를 방해하는 중대요인이 되었다.

해거드와 카우프만(Haggard and Kaufman 1995)의 분류에 따르

면, 타이는 경제적 위기 없이 민주주의 국면으로 들어선, ‘위기없는

이행’(non-crisis transition)을 경험한 동아시아 사례에 해당한다.1)

나아가 타이는 1997년 경제위기를 계기로 이른바 ‘국민의 헌법’으

로까지 불린 새로운 헌법을 제정함으로써 ‘위기를 매개로 한 공고

화’(crisis-driven consolidation) 사례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1997년에

제정된 타이왕국법은 1991년에 제정된 옛 헌법과 비교하였을 때 국

민의 자유권과 정치참여를 일층 보장하는 등 이른바 ‘1997년체제’

의 기초가 되었다.


하지만 ‘1997년체제’의 최대 수혜자는 절대적 지지를 기반으로 탁신체제’(Thaksinocracy)의 길을 연 정치적 자본가 탁신 친나왓이

었다. 요컨대 ‘1997년체제’의 성립은 관료적 정체(bureaucratic

polity) 혹은 과두제로부터 부르주아 정체(bourgeois polity) 혹은 신

과두제로의 중대전환(박은홍 2008)으로서, ‘탁시노크라시’의 예처

럼 이때의 부르주아정체는 지배계급의 간접지배가 아닌 직접지배

의 형태로 나타났다.2) 이 글에서는 타이에서 1980년대 후반에 시작

된 정치적 ․경제적 자유화가 지배계급이 직접 지배하는 민주주의

에 이르기까지의 맥락을 시장국가의 형성->진화->절정->위기의 관

점에서 검토하도록 하겠다.

* 이 논문은 2005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KRF-2005-J05202).

**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조회수 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Kommentar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