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설규주. 2021. “사회과 교육과정 속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설규주. 2021. “사회과 교육과정 속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시민교육연구』 제53권 제2호, 63-96.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시민성 함양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 사회과 교육과정 속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은 대체로 미디어 이해, 미디어 활용 등 일부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에 편중된 측면이 있었다. 교육과정별로는 2007,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별 편차도 발견되었으며 학교급 간 계열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한편, 사회과 세부 영역 중 사회·문화 영역에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주로 분포해 있었고, 디지털 사회에서 요청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사항은 충분히 부각되지 못하고 있었다. 사회과 교육이 미디어 리터리시를 충분히 갖춘 시민 양성에 더욱 기여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비평, 미디어 콘텐츠 생산, 미디어 관련 참여 등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일정한 지분을 확보하도록 하는 논리 위에서 학교급간 편차를 줄이고 계열성을 갖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문화는 물론 정치, 경제, 법 등 다양한 세부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및 활동 요소를 반영하고,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사항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DOI) 10.35557/trce.53.2.202106.003


조회수 27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