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성열관(공저). 2019.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 위협 요인 분석: 혁신학교 확산기 경기도의 경험을 중심으로.”

성열관. 2019.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 위협 요인 분석: 혁신학교 확산기 경기도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제46권 제3호, 99-128. (공저)


이 연구는 2015년 경기도의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정리한 것이다. 경기도의 2015년은 혁신학교 확산 정책이 본격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2014년에 교육감이 교체되면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을 비롯한 새로운 정책이 추진되는 등 여러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이와 함께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혁신학교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서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에 위협이 되는 요인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학교 밖 요인으로는 혁신학교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논쟁, 정책 중점의 변화와 맞물린 예산 감축, 혁신학교 확산을 위한 동원과 이에 따른 소진 등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학교 안 요인으로는 혁신 주도 교원의 전출 및 교원 구성의 변화, 과도한 집단주의 풍토, 권력 관계의 변화와 교육관을 둘러싼 구성원 간 갈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혁신학교 인사 정책을 혁신해야 하며, 혁신학교 지정 속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질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이 연구에서는 정책의 형성과 추진 과정에서 민주성을 확보할 것과 학교의 윤리적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DOI) 10.22804/jke.2019.46.3.004


조회수 8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Commentaire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