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한다. 코로나 발생 초기, 한국의 방역 체제는 투명성, 개방성, 민주성 원칙에 근거한 이상적 방역 모델로 주목받았다. 그 결과 민주적 시민성은 바이러스로부터 안전을 목표로 한 자발적 연대의 가입 여부에서 평가되곤 했다. 하지만 이태원클럽 집단 감염 당시 성소수자들의 검사 기피 문제는 민주적 방역이 구조적으로 존재해 온 차별에 대응하는 데 취약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심각성을 인지한 방역 당국은성소수자 인권 단체들과 거버넌스를 결성해 방역 위기를 해소했다. 하지만 이례적인거버넌스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의 시민성은 방역 차원에서만 정의되었고 성(性)과시민성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또다시 지연되고 있다.


조회수 1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