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안태환. 2021. "라틴아메리카 대중의 새로운 사회적 '시민성':자율적, 비자본주의적 '공동성'의 확대."

안태환. (2021). 라틴아메리카 대중의 새로운 사회적 '시민성':자율적, 비자본주의적 '공동성'의 확대.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32(2), 153-195.


이 논문은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일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서의 공동성의 시민성의 확대를 분석한다. 이에 앞서 18세기 이후 유럽에서 시작된 근대성과 자본주의가 19세기 내내 그리고 20세기 전반부까지 시민적 시민성과 정치적 시민성을 발현시킨 것을 분석한다. 즉, 근대 부르주아-시민에 대한 국가의 규제를 의미한다. 이차대전 이후 포디즘과 복지국가 모델에 의해 시민의 다양한 사회권을 인정하는 사회적 시민성이 출현한다. 그러나 1970년대에 자본주의 축적 체제가 위기에 빠지면서 1980년대부터 신자유주의 체제가 출현하고 사회적 시민성은 위축된다. 1990년대 이후 사회의 수평적 “공통감각”에 기초한 새로운 사회적 시민성이 출현한다. 그러나 아직 이 새로운 시민성은 과정적 유토피아에 머물고 있다. 이에 비해 라틴아메리카에서는 1980년대부터 가난한 대중에 의한 자율적 비자본주의적 ‘공동성(lo comunal)’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적 시민성이 베네수엘라와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여러나라에서 출현하고 있다. 이 시민성은 몇 백 년 전 부터의 전통적인 원주민 문화로부터 연원하기 때문에 관념적인 유토피아에 머물지 않고 매우 현실적인 추동력을 보여주고 있다. 즉 유럽과 라틴아메리카사이에 비슷해 보이는 사회적 시민성의 맥락이 서로 다른 것이다.


조회수 8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교실에서 혐오발언, 차별, 폭력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인 교사와 상담 프로그램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

정용주(공저).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정용주.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7(4), 93-127.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