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역동적 한국인-04]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부제: 현대화를 이끈 ‘나’와 ‘우리’의 변증법

저자: 구자혁

출판일: 2020-03-31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 현대화를 이끈 '나'와 '우리'의 변증법


표제/저자사항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 현대화를 이끈 '나'와 '우리'의 변증법 / 구자혁 지음 구자혁[1970-]

발행사항서울 : 피어나, 2020

표준번호/부호ISBN 9788998408282 93330: ₩20000


목차


서문 = 5


Ⅰ. 서론 : 한국사회의 역동성과 한국인의 집단주의 = 13


Ⅱ. 집단주의 이론과 한국인의 '우리' : 이론적 배경, 시각, 연구방법 = 37

1. '우리', 집단주의의 한국적 모습, 그리고 그 속의 '나' = 41

2. 집단주의 이론과 집단화 차원 = 60

(1) 집단주의, 서구 근대적 개인주의의 거울상 = 61

(2) 집단주의의 세 하위차원 : 관계적 자기, 집합적 기능주의, 그리고 일반화한 타자 속의 자기 = 66

3. 집단주의의 한국적 양상 연구 = 82

(1) 국내 연구의 개관과 평가 = 82

(2) 본 연구의 대상, 성격, 방법 = 92


Ⅲ. 현대화의 맞이 : 한국적 '우리'의 전통과 사회적 의의 = 99

1. 한국 집단주의의 원형적 형상 : 조선 유교질서의 이념적 요소와 역동성 = 106

2. 조선사회의 사회동학과 한국적 '우리'의 원형적 유형들 = 121

(1) 관념/이익 단일체의 기본 동학과 사회적 얼개 = 121

(2) 사회적 신분 상승을 향한 유교적 동력의 중심, '가'와 '통' 그리고 '보편/첨단 의 우리' = 127

(3) 성별화된 집단적 기능주의/권위주의, 그리고 '향토적/연고적 우리' = 134

(4) '서민으로서의 우리'와 대동(大同)을 향한 역동성 = 140

3. '현대' 앞에 선 조선, 그 구심력과 원심력의 변증법 = 146


Ⅳ. 현대와의 조우, 그리고 타율적 현대화의 불씨(1880∼1945) = 155

1. 새로운 보편성, 정당한 전체와 질서의 모색, 그리고 좌절 = 160

(1) 쇄국과 개항의 풍경 = 161

(2) 새로운 '나'와 '우리'를 향한 추구 : 실학, 서학, 동학 = 167

(3) 신문명(新文明)과 기회의 유혹, 각자도생, 그리고 표류(漂流) = 178

2. 식민지하 현대화와 집단화의 구조적 얼개 = 189

(1) 일제 식민지배와 현대화의 특성 = 192

(2) 일제하 조선사회와 참여/사회통합의 구조 = 199

(3) 일본적 행정국가와 사회 합리화, 그리고 전통 속의 민중 = 207

3. 일제하 집단주의의 주요 양상과 그 발화(發火)적 원천들 = 218

(1) 총동원체제의 소용돌이와 '민족'을 둘러싼 집단화의 분기(分岐) = 219

(2) 출세(出世)ㆍ출신(出身)ㆍ저항 : 현대화 지향 '청년'의 삼두마차 = 229

(3) '민족'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 가족, 고향, 의리, 그리고 '진정한 나라'에 의 꿈 = 239


Ⅴ. 현대를 향한 질주와 그 집합적 수행자 : 한국적 '우리'의 만개와 정립 (1945∼1980) = 253

1. 자주적 현대화의 용광로, 그리고 폭력적 정치세계 = 259

(1) 신생 탈식민사회 조선 : 민족을 향한 열망과 국가주의의 심화 = 261

(2) 해방된 인민대중의 사회 = 270

(3) 6.25전쟁과 이승만 정부하의 전쟁사회, 그리고 내집단(內集團)에의 강박 = 279

2. 현대화를 부과하는 국가와 집단주의의 대중 = 287

(1) 도시대중의 형성, 부상(浮上)하는 '우리' 유형들, 그리고 앞서가는 집단 = 289

(2) 현대화와 국가능력, 합리적 엘리트, 그리고 대중 = 302

3. '근대화'로서의 산업화 : 다차원적인 '우리'의 열망과 추구 = 310

(1) '보편적/첨단의 우리'와 상승 열망의 보편화, 그리고 벌열의 추구 = 311

(2) 성별화된(gendered) 우리 : 가족적 기능주의와 여성의 오이코스적 역할, 그리 고 '공적 존재로서의 우리' = 316

(3) '향토적/연고적 우리' : 가상화된 소속과 체면, 그리고 이익추구/승인을 위한 닫힌 우리 = 325

4. '근대화'의 불만-민주화 : 저항과 참여로 되돌아선 '우리'의 속내 = 335

(1) 기업과 노동의 세계 : '함께 잘살기'의 모순과 대항 집단화 = 335

(2) '서민으로서 우리'의 반격 : 신중산층, 지역주의, 그리고 민주화 지도집단 = 346


Ⅵ. 결론 : 한국 현대성과 '나'와 '우리'의 변증법, 그리고 새로운 의리를 향한 동경 = 361


참고 문헌 = 385

찾아보기 = 401

조회수 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