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자영(공저). 2021. “다문화배경 청년의 학습생활과 교육 요구에 대한 질적 분석.”

김자영. 2021. “다문화배경 청년의 학습생활과 교육 요구에 대한 질적 분석.” 『평생학습사회』 제17권 제2호, 61-88. (공저)


본 연구는 성인기에 진입한 다문화 2세대인 청년에 대한 평생교육계의 관심을 환기하고, 다문화배경 청년이 독립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지원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문화배경 청년의 성장 지점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논의로서 일상에서 학습생활이 어떻게 영위되는지, 교육적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다문화배경 청년의 목소리를 담고,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배경 청년의 학습생활 경험은 좁은 사회관계망 등으로 인해 막연한 학습활동과 진로 준비에 머무는 제한적인 학습생활에 그치고 있다. 둘째, 다문화배경 청년의 교육과 생활세계는 다문화 배경으로 인한 구조적인 경계와 장벽 속에 놓여 있다. 셋째, 다문화배경 청년의 교육 요구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성장 욕구와 진로 설계에 초점을 두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기에 다문화배경 청년의 학습권과 역량 개발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 주며, 다문화배경 청년의 복합적 요구를 반영한 평생학습 지원체계가 지역사회 속에서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18124

(DOI) 10.26857/JLLS.2021.5.17.2.6

조회수 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교실에서 혐오발언, 차별, 폭력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인 교사와 상담 프로그램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

정용주(공저).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정용주.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7(4), 93-127.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