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4] 『여성운동 프레임과 주체의 변화: 여성인권 담론을 중심으로』, 박인혜


여성운동 프레임과 주체의 변화 : 여성인권 담론을 중심으로, 박인혜 지음


카테고리 : 여성학, 사회학

가 격 : 34,000원

쪽 수 : 464쪽(신국판, 양장)

출 간 일 : 2011년 6월 27일

ISBN 978-89-460-5363-2 93330


◉ 이 책은


한국여성의전화 28년의 역사를 통해 본 여성운동의 현장과 지속가능한 여성인권 운동의 미래


한국 여성인권운동은 민주화 이후 공적 담론장에서, 제도화의 측면에서, 그리고 운동참여 주체의 측면에서 양적·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여성인권운동단체를 표방한 ‘여성의전화’는 성폭력, 가정폭력 등 피해여성 상담활동과 더불어 피해자 지원과 가해자 처벌을 위한 입법운동에 앞장서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여성폭력 근절과 여성폭력추방운동의 필요성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동의를 동원해 여성인권을 민주화시대의 보편적 담론으로 만들고 정부 여성정책의 주요 부분으로 자리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제도화 이후 여성인권 개념이 협의의 성폭력 개념으로 축소되고, 여성폭력에 대한 여성주의적 관점이 가족주의 관점과 경합하면서 여성인권 담론이 가진 정치적 힘이 약화되었으며, 이는 여성의전화 주체의 정체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구나 현 시기에 이르러 제도화에 따른 구모순과 지구화로 인한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의 신모순이 복합적인 쟁투를 벌이면서 새로운 여성인권 문제를 야기하고 있지만, 여성의전화는 이에 적합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성의전화의 위기는 여성인권운동에서 여성인권 담론이 제도화 이후에도 그리고 자본주의적 가부장제가 심화되고 있는 현 시기와 이후에도 유효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책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상임대표였던 저자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그동안 여성의전화가 벌여온 여성인권운동의 실천내용을 분석하고 여성인권의 정치학을 탐구한 것이다.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상임대표로서 운동의 현장에 몸담았던 사람이기에 접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와 여성운동 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여성의전화 28년 역사를 여성인권 운동이라는 프레임 속에서 분석적이고 통찰적으로, 지속가능한 여성인권 운동의 대안을 찾아가는 저자의 열정을 보여준다.


◉ 출간의의


여성인권운동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인권 사건의 서술과 여성인권 개념의 분석에 한정되어 있으며, 여성인권운동의 변화 경로와 그것에 영향을 미친 운동 요소 그리고 요소들 간의 동학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


이 책에서는 여성의전화가 여성인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열하게 전개했던 논쟁과 실천의 측면에 영향을 미쳤던 운동 동학의 핵심적인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아울러 그 구성요소들 상호 간에 어떤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그 관계는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규명하면서 여성인권운동의 미래를 전망했다.

여성인권운동 현장에서 가부장제 지배 헤게모니와 여성폭력운동에 의해 산출된 여성인권 담론은 무엇이며, 그 형성과 변화과정은 어떠했는지, 여성인권 담론이 운동주체에 매개된 주요한 경로는 무엇인지, 그리고 운동주체의 대항 헤게모니적 실천은 무엇이며 운동주체는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여성인권 담론과 매개체, 운동주체 간의 관계는 무엇이며, 그 관계가 주체 변화에 미친 영향을 검토했다.

이론적으로 사회운동을 다룬 책은 많다. 사회운동가가 직접 쓴 저술도 적지 않게 나와 있다. 그러나 사회운동가가 이론과 실천을 하나의 일관된 틀 안에서 잘 갈무리해 낸 저작은 정말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 책은 여성인권 운동가의 가슴과 여성인권 이론가의 머리가 혼연일체가 된 실천적 학술서의 전범이다. 한국 여성인권 운동의 맥을 제대로 짚고 싶다면 제일 먼저 거쳐야 할 기념비적인 노작이다


◉ 추천사


오랫동안 여성인권운동에 몸담아온 한 여성 활동가의 치열한 경험을 학문적인 언어로 벼려내고자 한 이 책은 한국 여성주의 지식 생산과정에서 새로운 주체의 탄생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 성공회대 NGO대학원 실천여성학과정 주임교수 허성우


여성운동 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여성인권 운동의 대안을 찾아가는 저자의 열정을 보여주는 저서이다.

- 한국여성의전화 상임대표 정춘숙


한국 여성주의운동이 지적‧실천적으로 고민하고 축적한 광범한 ‘운동지식’을 많은 독자들이 이렇게 한 권의 책에서 종합적으로 만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고 고맙게 생각된다.

-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 조희연


이 책은 여성인권 운동가의 가슴과 여성인권 이론가의 머리가 혼연일체가 된 실천적 학술서의 전범이다. 한국 여성인권운동의 맥을 제대로 짚고 싶다면 제일 먼저 거쳐야 할 기념비적인 노작이다.

-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조효제


◉ 목차


서론

제1부 여성인권에 관한 이론과 분석틀

제1장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자원

제2장 연구방법과 분석


제2부 ‘여성의 인간화’ 프레임 생성과 주체 연결

제1장 ‘여성의 인간화’ 프레임 생성

제2장 여성의 인간화 프레임과 여성사회교육

제3장 ‘여성의 인간화’운동의 주체 연결


제3부 ‘성폭력’ 프레임으로의 증폭과 주체 결집

제1장 ‘성폭력’ 프레임의 증폭

제2장 ‘성폭력’ 프레임과 여성상담교육

제3장 반(反)성폭력운동의 주체 생성


제4부 ‘글로벌 여성인권’으로의 프레임 확장과 주체 확산

제1장 ‘글로벌 여성인권’ 프레임의 확장

제2장 글로벌 여성인권 프레임과 여성상담교육 및 지부활동가교육

제3장 ‘글로벌 여성인권’운동의 주체 확산


제5부 프레임과 주체의 전환적 위기

제1장 프레임의 전환적 위기

제2장 프레임의 전환적 위기와 지부활동가교육

제3장 여성인권운동 주체의 전환적 위기

결론


◉ 지은이 소개


박인혜

현 성공회대학교 실천여성학 외래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성공회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천여성의전화 회장과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상임대표를 역임하고, 전국성폭력상담소․피해자보호시설협의회 상임대표, 한국여성단체연합 인권위원장, 국무총리직속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성문화대책위원, 경찰청 인권위원회 위원, 법무부 교정행정자문위원회 부위원장,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위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분과실행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