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상준. 2020.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박상준. 2020.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2호, 765-787.


이 논문은 학생 주도성(학습자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의 혁신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변혁적 역량이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사 주도의 수업이 아니라 학생 주도의 학습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 주도성은 자신의 삶과 학교생활, 사회생활에서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주체적으로 성취하고 책임지는 역량이다. 학생 주도성은 교과 수업과 학생 자치 활동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경험을 통해 공동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 주도성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학생 주도성은 미래 역량을 기르는 교육의 기본적 토대가 된다. 학생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으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교사 주도 교육 패러다임을 학생 주도 교육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수업 구조와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교사는 수업의 설계 단계부터 학생과 상호 협의하여 무엇을 어떻게 배울지 함께 결정하고, 그에 따라 학생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주도해 배우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학생 주도성은 교과 수업뿐만 아니라 비교과 활동 및 학생 자치 활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학생이 학교의 주체로서 수업과 학교 활동에 대해 협의하여 결정하고 그것을 책임있게 수행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처럼 학생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이 이루어지면, 학생의 학업 성적도 향상되고 자기 효능감, 책임감 등이 향상될 것이다.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1919

(DOI) 10.22251/jlcci.2020.20.12.765

조회수 8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교실에서 혐오발언, 차별, 폭력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인 교사와 상담 프로그램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

정용주(공저).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정용주.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7(4), 93-127.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