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표기] 김세희. 2021. “프랑스 국가주의와 학교 시민교육: 국민교육에서 EMC까지.”

김세희. 2021. “프랑스 국가주의와 학교 시민교육: 국민교육에서 EMC까지.” 『교육사상연구』 제35권 제1호, 27-50. (사사표기)


본 연구는 프랑스 학교 시민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국민교육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오늘날 어떤 특징과 지향점을 담고 있는지 검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학교교육체계를 완성한 쥘 페리와 제3공화정의 공적에 초점을 맞추면, 국민교육은 교육기회의 평등과 능력주의를 정착시킨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관점을 달리하면, 국가발전을 위해 학교를 도구화하고 종교・문화적으로 소외된 집단을 양산했음이 드러난다. 특히 시민교육과 '라이시테'는 페리에 의해 도입되어 국가이념을 전수하는 교과 및 원리로서 오늘까지 이어졌다는 점에서 현대 프랑스 사회를 이해하는 단초가 된다. 프랑스에서 라이시테 원칙은 20세기 말부터 이슬람에 대한 엄격한 통제 기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학교 시민교육은 점차 애국주의적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19세기 말 국민국가 형성기와 매우 유사한 형태다.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88994

(DOI) 10.17283/jkedi.2021.35.1.27

조회수 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교실에서 혐오발언, 차별, 폭력을 일상적으로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인 교사와 상담 프로그램

정성조(공저).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영, 정다울 and 정성조. (2021). 민주적 방역, 혹은 권리 없는 자들과의 협치: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5, 272-314. 본 연구는 2020년 5월 발생한 이태원 클럽 집단 감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소수자 ‘문제’가 한국의 생명정치적 방역 체제 내 합리성, 민주성, 시민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고 주장

정용주(공저).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신현석, 정용주. (2021). 교육학 연구와 교육 현장성 : Friedman의 과학철학적 관점으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7(4), 93-127.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논의에 대한 지적·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그로부터 파생된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강화는

bottom of page